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Ghost의 C Note(노트)23

Ghost는 귀차니즘?...@_@ Integer의 범위.. 정수(Integer)란 부호는 있지만 소수점 이하를 표현하지 못하는 수이다. 0, -23, 156 이런 값들은 정수이며 1.28, 25.4 이런 값은 소수점 이하가 있으므로 정수가 아니다. 정수의 정의는 중학교 수학 수준에서 설명되는 것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다. 단, 컴퓨터의 메모리는 유한하기 때문에 수학적 정의와 같은 무한대의 범위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정도만 다르다. 정수형이란 이런 정수값을 저장할 수 있는 타입이다. 컴퓨터라는 존재가 원래 정수적인 존재이고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이기 때문에 정수형 타입이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정수형 변수의 타입 이름은 Integer의 앞 세 자를 딴 int이다. 따라서 정수형 변수 i를 선언하려면 다음과 같.. 2012. 4. 16.
좋아 정해 졌으... ^^? #define이란? : 변수가 필요할 때 값이 변하는 것에 비해 상수는 한 번 정해진 값이 프로그램 내에서는 변하지 않는다. #define은 특정상수에 이름을 붙여서 프로그램의 이해를 돕고 수정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선행처리기 지시자이다. 1. #include 아래줄을 보면 #define PI 3.1416이라는 전 처리문이 있다. 이문은 main에서 실행 되기전에 먼저 PI는 3.1416이라는 실수를 정해 놓았다. 그리고 circumference = (redius + redius) *PI; 라는 구문에서 #define이라는 전 처리문에서 미리 정해 놨던 3.1416을 곱하게 된다. 2. Dos Command 창에서 cl df.c명령어를 실행 시켜서 컴파일을 시켜 df.exe 파일과 df.obj 파일.. 2012. 4. 5.
산술 혹시 산에서 만든 술?...@_@? 산술 계산.. : C 언어는 수학에서 사용 하는 +, -, *, / 등의 사칙연산을 지원한다. 1. 위 그림에서 변수 "length = 3" 밑에 "area = length * length;"라는 줄이 보인다. 이 부분이 바로 사칙 연산 중 곱하기를 하는 부분이며 "area ="라는 부분은 일반적인 수학에서의 "="이 아니라 "area"라는 변수에 값을 대입 하겠다는 의미다. 프로그램에서의 "=" 수학적 의미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2. Dos Command 창에서 cl shk.c라는 명령어를 실행 시켜 컴파일을 시켜 shk.exe와 shk.obj 파일들을 생성을 시킨다. 3. 위 그림에서 shk.obj와 shk.exe 파일이 생성 된 것을 확인할 수있다. 4. Dos Command 창에서 shk.ex.. 2012. 4. 4.
Ghost의 변수.. 변하는 야수? 변수란? : 변수는 프로그램 내에서 정수나 실수 또는 문자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자료를 다루기 위해서 변수를 이용하는데, 변수는 값을 저장 할 수 있는 주 메모리내 기억장소의 이름이다. 1. 위 소스에서 새롭게 추가 된 줄을 볼수 있을 것이다. "int number"와 "number = 3"이라는 두줄 이때까지는 printf문만 써서 출력을 했었지만 새롭게 추가된 두줄이 변수 선언과 변수에 3이라는 값을 넣게 다는 것이다. 2. Dos Command창에서 cl function.c라는 명령어로 컴파일을 실행하여 function.exe와 function.obj 두개의 파일이 생성 되는 것을 확인 할 수있다. 3. 위 그림에서 컴파일을 실행해 얻었던 function.exe와 function.obj 파일이 생생.. 2012. 4. 3.
728x90
반응형